북피냐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북피냐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책과 생각
    • 잡지와 이슈
    • 책의 장소
홈태그방명록
  • 책과 생각
  • 잡지와 이슈
  • 책의 장소

검색 레이어

북피냐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책리뷰

  • 진정성은 있다 그러나 모른다. / <진정성이라는 거짓말>비판

    2019.12.29 by 읽는자

  • SKY캐슬에 등장해서 읽은 책 <군중심리학>

    2019.12.19 by 읽는자

  • 나의 연애는? 신자유주의 삶과 연애 <연애 정경>

    2019.11.19 by 읽는자

진정성은 있다 그러나 모른다. / <진정성이라는 거짓말>비판

을 읽고, 저자의 의견에 대해서 4일정도 짧은 기간 생각해보고 써본다. 이 책을 읽고 꽤 고민이 많이 되었고, 뚜렷하게 찬성/반대를 하지 못했다. 일부 의견은 맞지만, 일부 의견은 맞는듯하지만, 글쎄다 싶어진다. 일단 세상에 대해서 냉소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책의 대략적인 내용 고전동화에서부터 True Love를 찾기 위해서 많이들 노력한다. SNS나 책, 글에서는 진짜 사랑, 놓치면 안되는 남자/여자를 설명해준다. 대부분은 고작 20세기초 행동주의 심리학기반으로 관찰을 통해, 상대방의 진심을 확인하려 한다. 예를 들어, '하루에 사랑한다는 말을 5번'이라는 문구가 있으면, 일부러 5번 맞춰서 플레이하는 이가 있고, 5번충족되지않는다고 괜히 흔들리기도 한다. 진정성보단 진정성확인하려는 기준이 최우..

책과 생각 2019. 12. 29. 18:37

SKY캐슬에 등장해서 읽은 책 <군중심리학>

SKY캐슬에서 독서모임이 등장한다. 거기서 인터넷 카페를 보게 되는데, 대문에 ‘군중심리학’책이 적혀있는것을 알 수 있다. 방송에서 이 책을 가지고 토론하지는 않았는데, 그래도 촬영설정, 대본, 기획에서 왜 이 책을 넣었을까라고 생각하며 이 책을 읽게 되었다. 군중심리학책이 19세기말 책인데도 지금을 예견하고, 읽는 나 또한 앞으로의 미래를 보게 도와주었다. 굉장히 놀라운 책이고, 19세기말 사람들이 생각해낸걸 내가 지금 알았다는게 부끄럽기도 하다. 그래서 고전이라고 부르구나하면서 한번더 깨닫게 된다. 일단 군중이 왜 형성되는가 이다. 그냥 직장, 기관, 친구나 뜻이 같아서의 범위가 아닌, 민주주의 사회에서 형성되는 군중을 봐야 한다. 군중의 범위는 민족까지 간다. 인터넷에서 말하는 ‘종특’이 민족성이랑..

책과 생각 2019. 12. 19. 15:30

나의 연애는? 신자유주의 삶과 연애 <연애 정경>

*물론 연애에서는 개인차이, 문화차이, 생각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구조적 문제를 이야기하면서, 대중매체가 왜 이렇게 이야기하는지, 이슈화된 문제를 무조건적으로 사람정신상태문제로 집어야할까?를 돌이켜보게 된다. "연애 정경"이라는 책을 가지고 하는 강연이 있어서, 한 번 읽어보았다. 북저널리즘이 저널리즘성향이 굉장히 강하기 때문에, 어느 사건을 가지고 조사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무조건적 원인이라기보단 우리가 평소에 보지 못한 시각을 제공해주고 있고, 이게 정말 인과관계나 연관성이 있는지는 학자의 역할로 들어가게 된다. "연애는 어디에나 있으면서 어디에나 없다. TV 드라마는 사랑을 노래하고, 지하철 스크린도어엔 결혼정보업체 광고가 있다. 국가에서도 결혼 장려정책을 논하고, 저출산과..

책과 생각 2019. 11. 19. 11: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북피냐타
북피냐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